
여과기는 히터, 어항과 힘께 물생활의 필수품 중 하나이다.
물고기는 먹이를 먹고 똥(유기물)을 배출하게 되는데,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산소가 소모되고 유독성 화합물이 생성된다. (질소, 암모니아 등)
이 유독성 화합물이 쌓이게 될수록 물고기가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
여과기는 이러한 환경에 산소를 공급하고, 유독성 화학물을 정화시켜 환수 시기를 늦추기 위한 장비이다.
여과기는 물생활 중 중요한 아래 세가지를 담당하고 있다.
1. 산소공급
여과기를 통해 물의 정화와 산소공급을 하여 유막 제거와 유독성 화합물을 날린다.
2. 여과 작용
물속의 찌꺼기를 걸러주고 물을 순환시켜 물이 썩는 것을 막아준다.
3. 박테리아
물 내부에 박테리아가 살기 위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여과기 = 박테리아의 집)
여과기의 종류

스펀지 여과기
스펀지가 하나만 있는 것은 단기, 2개가 붙어있는 것은 쌍기라고 한다.
가성비가 가장 좋은 여과기이다.
에어펌프를 연결하여 스펀지로 물을 통과시키며 여과시키는 방식의 여과기이며,
스펀지의 조직이 촘촘하기 때문에 좋은 박테리아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된다.
이 박테리아들은 오염물을 강력하게 생물학적 분해를 해주기 때문에 물고기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
(물리적 여과 능력은 낮은 편이다)
스펀지여과기는 스펀지의 조직이 촘촘하기 때문에 슬러지 등에 막힐 경우 손으로 짜줘야 한다.
(스펀지 물은 수조 안에 짜주는 게 좋고 수돗물로 씻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박테리아들이 살 집을 다 지어놓았는데 무너뜨리는 격, 물 깨짐이 생길 수 있음)
기포기 소음과 물소리가 거슬리다면 에어량을 조절하고 여과기를 바닥재에 약간 파묻으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저면 여과기
자연의 여과방식과 가까운 여과기이다.
저면 여과기는 관리가 힘들지만 왕똥을 싸는 어종을 키우고 있거나
여과기가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게 싫다면 저면 여과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저면 여과기는 수조 세팅 초기에 바닥에 여과판을 넣고 그 위에 바닥재를 덮어 에어펌프나 모터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 바닥재가 여과기 역할을 해준다)
이때 고운 바닥재를 쓰는 경우 오히려 저면 여과기가 막힐 수 있기 때문에
흑사 등 바닥재의 굵기가 두꺼운 것을 사용 시 적당하다.
저면여과기는 출수구 파이프를 제외하면 육안으로 걸리적거리는 게 없어 디자인이 중요한 분이라면 추천드리지만,
저면 여과기 청소가 필요하다면 어항을 뒤엎어야 하는 큰 단점을 가지고 있으니 고려 바란다.

단지 여과기
단지처럼 생긴 여과기에 에어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부에서 물을 흡수하여 하단의 여과재를 통과한 뒤 가운데의 대롱으로 여과된 물이 나오는 방식으로
단지여과기는 둥근 어항이나 수반에서 사용하기에 제일 알맞은 여과기이다.
(이외 어항에서는 보조 여과기로 사용한다.)
가재항이나 거북 이항에서는 여과기의 파이프나 전선을 타고 올라와 탈출하기 때문에
단지 여과기 사용은 베스트로 꼽힌다. (어항 뚜껑을 닫고 사용)

측면 여과기
마트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여과기이다.
측면 여과기는 모터를 이용하여 물을 빨아들이며,
스펀지 또는 여과재를 통과하여 파이프를 통해 여과된 물이 배출된다.
모터로 물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물리적 여과는 확실하나 생물학적 여과는 충분하지 않아 보조 여과기로 쓰이곤 한다.
수류가 상당히 세기 때문에 출수구 아래의 모래가 지속적이게 날리고 파이며,
몸집이 작은 치어항, 새우항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여과기가 치어를 빨아들인다.)
출수구를 수조 벽 쪽으로 돌려놓으면 수류와 소음이 현저히 적어진다.
순환 및 강한 수류를 좋아하는 물고기항에 설치하는 게 좋다.

외부 여과기
어항의 외부에 설치하는 여과기이다.
어항 내부의 물을 빨아들여 안의 여과재로 통과시켜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데
여과성능이 엄청나기 때문에 왕똥을 싸는 대형어나 거북이항에 필수적이다.
다만 능력에 비례해 가격이 5~90만 원 정도로 피눈물 나게 비싸다.
행복한 물생활을 위해 좋은 참고가 되길 바란다.
: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먹이 종류와 급여법 (+브라인쉬림프, 장구벌레, 실지렁이, 그린달웜, 물벼룩, 초선충, 달팽이) (0) | 2022.06.03 |
---|---|
수조 바닥재 총정리 (특징/수질/어종추천/장,단점) (0) | 2022.06.03 |
인디언복어 키우는법 (정보/번식/가격) (0) | 2022.06.02 |
열대어 베타 키우는 법 (정보/번식) (0) | 2022.06.02 |
키우기 쉬운 포인트 전경수초 '워터머쉬룸' (0) | 2022.06.01 |
댓글